판소리 《춘향가》 중 〈춘향이가 처음 이도령을 만나는 대목〉의 토막소리를 《12잡가》로 재구성한 것
소춘향가는 판소리 《춘향가》의 전편(全篇)을 축약한 것이 아니라 〈춘향이가 처음 이도령을 만나는 대목〉을 사설로 엮은 것이다. 즉 판소리 《춘향가》의 토막소리를 《12잡가》로 재구성하면서 춘향의 집 앞 전경과 춘향이가 이도령을 만나는 대목을 묘사한 사설로 이루어져 있다.
○ 연행 시기 및 장소 소춘향가는 서울과 경기도를 중심으로 전문적인 소리꾼들에 의해 애창되었으며 주로 민간의 유희 장소나 겨울철 파움 등에서 불렀다고 한다. ○ 음악적 특징 소춘향가의 음계는 ‘레(re)-미(mi)-솔(sol)-라(la)-도(do′)’이지만, 이외에 ‘레(re′)-미(mi′)-솔(sol′)’의 고음역이 출현하기도 한다. 곡의 중심음은 라(la)이며 중심음 라(la)에 가장 많은 시김새가 붙는다. 소춘향가는 12잡가 중 <제비가>와 더불어 고음역의 선율로 구성되며, 넓은 음역대를 자랑한다. 청이 높은 창자들이 목자랑을 하며 애창하던 잡가이다. 소춘향가에서는 요성과 관련된 시김새의 사용이 두드러진다. 특히 음을 흔들어 내면서 흔드는 음보다 낮은음을 순차적으로 붙여 빠르게 감아 내려놓는 느낌을 주는 시김새와 음의 앞뒤로 여러 음을 순차적으로 붙여서 휘감는 듯한 느낌을 주는 시김새가 다수 활용된다. 소춘향가의 장단은 6박 장단을 사용하며, 도입부에는 4박 장단을 활용하기도 한다. 소춘향가의 선율은 ‘솔(sol)-미(mi)-레(re)’로 순차으로 하행하며 종지한다. 또 선율의 마지막 음은 요성을 하며 눌러주어 곡에 안정감을 더한다. ○ 형식과 구성 소춘향가의 도입 부분은 춘향의 집 앞 전경을 묘사한 대목이고 중반 이후부터 마지막까지는 춘향과 이도령의 해후를 묘사한 부분이다. 소춘향가는 통절형식이며 9마루로 나뉜다. 잡가는 독창자와 장구 반주만으로 단조롭게 부르기도 하지만, 여러 명의 창자가 함께 부르기도 하고 반주 악기를 사용해서 부르기도 한다. 반주 악기로는 피리, 대금, 해금, 가야금, 장고 등이 사용되며 그 외의 악기를 편성하기도 한다.
춘향의 거동 봐라. 오인(왼)손으로 일광을 가리고 오른손 높이 들어 저 건너 죽림 보인다. 대 심어 울하고 솔 심어 정자라. 동편에 연정이요 서편에 우물이라. 노방에 시매고후과요 문전에 학종선생류 긴 버들 휘늘어진 늙은 장송 광풍에 흥을 겨워 우쭐 활활 춤을 춘다. 사립문 안에 삽사리 앉아 먼 산을 바라보며 꼬리치는 저 집이오니 황혼에 정녕히 돌아를 오소. 떨치고 가는 형상 사람의 간장을 다 녹이느냐 너는 어떤 계집아희관대 나를 종종 속이느냐 아하 너는 어떤 계집아희관대 장부간장을 다 녹이느냐. 녹음방초 승화시에 해는 어이 아니 가노 오동야월 달 밝은데 밤은 어이 수이 가노. 일월무정 덧없도다 옥빈홍안 공로로다 우는 눈물 받아 내면 배도 타고 가련마는. 지척동방 천리로다 바라를 보니 눈에 암암
소춘향가는 춘향이가 처음 이도령을 만나는 대목을 사설로 엮은 것으로 판소리 《춘향가》와는 다른 노래이다. 당시 유행하던 판소리 《춘향가》의 한 대목을 따와서 사설을 재구성 하여 잡가로 불른 것으로, 역동적이고 화려한 선율로 12잡가 중에서도 인기가 높았다. 소춘향가의 사설을 살펴보면 “오른손으로 일광을 가리고 오인손(왼손) 높이들어”, “우줄우줄 춤을춘다 사립문 안에 삽삽리 앉아 먼산을 바라보며 꼬리치는 저 집이오니”에서 보이듯이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묘사가 돋보인다. 또 “떨치고 가는 형상 사람의 간장을 다 녹인다 너는 어인 계집애관데 장부의 간장을 다 녹이느냐”, “지척동방 천리로다 바라를 보니 눈에 암암”의 일부 사설에서 보이듯이 직설적이고 과장된 표현과 이야기를 해주는 것 같은 내용을 갖추고 있다. 전체적인 내용은 춘향의 집 앞 전경과 춘향이가 이도령을 만나는 대목을 묘사하고 있다. 소춘향가는 12잡가 중 곡의 길이가 짧은 편인데도 곡의 음역대가 넓고, 고음역의 선율도 나타나기 때문에 부르기 어려운 노래 중 하나이다. 잡가에는 소춘향가와 같이 판소리에 연원을 둔 여러 곡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소춘향가는 높은 음역과 도약이 심한 선율을 노래하여 곡의 완성도가 높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국립문화재연구소, 『경기민요』, 민속원, 2008. 김영운, 『한국민요학』, 한국민요학회, 2002. 성경린 외, 『국악의 향연』, 중앙일보사, 1988. 송은주, 『12잡가의 시대적 변화양상 연구』, 민속원, 2016. 송은주, 『십이잡가, 우리의 삶과 자연의 노래』, 민속원, 2020. 이창배, 『가요집성』, 청구고전성악학원, 1954.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흥인문화사, 1974.
송은주(宋銀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