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가 변강쇠타령은 판소리 변강쇠타령에서 주요 부분을 따와 서울 지방에서 오래 전에 만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잡가를 변강수타령이라고도 했고, 1930년대 음반이 몇 곡 남아 있다.
○ 역사적 변천 과정과 용도 서도 명창이었던 김정연의 『서도소리대전집』(1979)에는 〈발림엮음수심가〉란 큰 제목 아래에 변강쇠타령(서도)의 노랫말이 나와 있는데, 여기에는 소리극 형태(재담+노래)가 수록되어 있다. 〈창부타령〉을 바탕으로 하며 독창적인 선율로 형성되지 않고, 재담이 섞인 형태가 있었던 점으로 미루어 볼 때, 경·서도 지역의 전문 소리꾼들이 공연할 때 대중들에게 재미와 즐거움을 주기 위해 만들었던 레퍼토리로 보인다. 현재는 경기소리 창자들에 의해 주로 전승되고 있다. ○ 음악적 특징 두 가지 형태의 변강쇠타령 모두 선율은 서울의 창부타령조로 되어 있어, 이와 음악 특징이 거의 같다. 보통 빠르기의 굿거리장단에 맞고, 전형적인 경기 음악어법인 경토리(솔(sol)-라(la)-도(do')-레(re')-미(mi'))로 되어있다. 선율도 전반적으로 경쾌하고 밝다.
변강쇠타령의 노랫말은 심술 궂으면서 게으른 변강쇠를 실감 나고 재미있게 잘 담고 있다. 노랫말은 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5절의 유절형식으로 된 형태(<창부타령>조)의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1. 천하 잡놈은 변강쇠 천하의 잡놈은 변강쇠라 자라는 호박에 말뚝박기 우물길에 똥누기 아희 밴 부인(婦人) 발길로 차기 잦혀 논 밥에 돌 퍼붓기 불붙는 데 키질하기 정절과수 놀려내기 물에 빠진 놈 덜미짚기 활 쏘는 양반 줌팔치기로다 어화둥둥 내 사랑아 2. 강쇠의 심사를 볼 지경이면 엄동설한(嚴冬雪寒)에 땔 것이 없어 나무를 하러 나갈 적에 낫은 갈아 지게에 꽂고 도끼는 갈아 옆에다 끼고 삼십명(三十名) 나무꾼 앞세우고 납작지게를 걸머지고 산을 넘고 물을 건너 원근산천(遠近山川)에 당도하니 봄들었구나 봄들었구나 원근산천에 봄들었으니 나무는 할 것이 없어서 길가에 선 장승을 패니 장승이 괴탄(愧嘆)하는 말이 이 몹쓸 변강쇠야 변강쇠 아궁이 귀신이 되누나 어화둥둥 내 사랑아(하략) 재담과 노래(<창부타령>조)가 섞인 소리극 형태의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아니리) 이것이 무었인고 하니 천하(天下) 잡놈 변 강쇠 타령(卞江釗打令)이렸다. (노래) 강쇠(江釗)의 심사(心事)를 볼양이면 저 강쇠 심사를 볼양이면 자라는 호박에 말뚝 박기 불붙는 데 키질하기 물에 빠진놈 덜미 짚기 잦혀논 밥에 돌 퍼붓기 우물 길에다 똥 누기 정절과부(貞節寡婦) 모함하기 활 쏘는 양반 줌팔 치기 옹기전(甕器廛)에서 말 달리기 (아니리) 아 이렇게 심술(心術)이 못되었다 이말이지. 그러나 그놈의 색시는 천하일색이라 두 양주(兩主) 얼싸안고 한 바탕 노는 길이었다(하략)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6, 404~405쪽.
근세기 창작된 다양한 잡가들을 통해 민중들이 선호했던 노래 문화와 음악적 성격을 엿볼 수 있다. 변강쇠타령은 당시 인기 판소리(<변강쇠타령>)와 민요(<창부타령>)를 바탕으로 시도되었던 대표적인 서울지역의 노래로서 경기잡가로 볼 수 있다.
김정연, 『서도소리대전집』, 경원각출판사, 1979.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6. 장사훈, 『국악개요』, 정연사, 1961.
손인애(孫仁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