앉아뛰어 외사위, 앉아돌아 외사위, 외사위 변형, 외돌사위
조선 후기 해서 지역 탈춤 동작 중에서 다리를 높이 들어 뛰며 팔을 꺾어 한삼자락을 오른쪽 왼쪽으로 번갈아 한 번씩 휘두르는 활달한 춤사위
○ 내용 외사위는 해서탈춤에 두루 보이는 깨끼춤사위의 하나로서 발을 굴러 다리를 번쩍 들고 높이 뛰며 동시에 팔을 꺾어 한삼을 머리위로 크게 휘두르는 동작이다. 오른편 외사위와 왼편 외사위가 있는데, 앞의 것은 오른발을 높이 뛰며 오른팔을 둥글게 감싸 머리 위 뒤편으로 뿌려펼치는 동작이고, 왼편 외사위는 왼발을 높이 뛰며 왼팔을 둥글게 감싸 머리 위 뒤편으로 뿌려펼치는 동작이다. 이를 두고 삼국지 위지 동이전 삼한 조에 나오는 ‘수족상응(手足相應)’의 실제 모습을 만날 수 있다. 이 춤은 춤집이 큰 팔먹중이 주로 추는 춤으로 장작불을 뛰어넘을 정도의 도무(跳舞)로 활달하고 절도 있는 춤이다. 봉산탈춤 먹중춤의 가장 기본적인 사위 중 하나로 장쾌한 운동감을 느끼게 한다. 전진과 이동할 때 많이 사용하며 요철굴곡이 심한 턀의 요동침과 격렬한 어깨춤과 더불어 이는 남성적이고 북방계열인 건무(健舞)의 흐름 속에서 고구려의 상무정신을 엿보인다. 힘찬 동작으로 한삼이 긋는 춤 폭과 운동량은 대단하다. 외사위의 변형으로는 돌면서 하는 앉아돌아 외사위와 앉았다가 도약하면서 뛰는 앉아뛰어 외사위, 외돌사위 등이 있다.
○ 구조 봉산탈춤의 외사위
1. 다리의 동작은 기마자세를 기본으로 하여 몸통과 허리를 틀면서 무릎을 90도로 꺾어들기를 하는데, 이때 허리틀기와 엉덩이 짓을 함께한다. 두 팔은 경쾌하게 뿌리면서 빠른 사위로 굽혔다 폈다 한다. 즉 이들 동작은 깨끼춤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2. 1박에는 발끝이 위를 향하도록 하여 오른쪽으로 몸통을 45도로 틀어 도약을 한다. 이때 탈을 떨면서 오른손의 한삼을 머리위에서 앞으로 감싸고 하늘 뒤편으로 감아 뿌리는데 오른손과 왼손은 대각선을 이루도록 한다. 3. 2박에 몸통을 원위치로 돌리며 착지한다. 두 팔을 양옆으로 가져오며, 중심을 오른쪽 다리에 옮겨 다음 동작의 준비를 한다. 4. 3박에 발끝이 위를 향하도록 왼쪽 무릎을 직각으로 올리고 몸통을 왼쪽으로 틀면서 도약한다. 이때 탈을 떨면서 한삼을 머리 뒤에서 앞으로 원을 그리듯이 감아 뿌리는데, 오른손과 왼손은 대각선을 이루도록 한다. 5. 4박에 몸통을 원위치로 돌리며 착지한다. 이 힘에 의해 왼손은 등 뒤로, 오른손은 앞으로 온다. (봉산탈춤과 강령탈춤과는 달리 은율탈춤에선 다리를 들되 몸 앞에서 가지런히 세워 든다.)
강령탈춤의 외돌사위
강령탈춤의 외사위는 두 종류로 봉산탈춤과 동일한 형태의 외사위가 있고, 한바퀴 돌면서 한번은 내감고 한번은 뿌리는 동작을 번갈아 하면서 한바퀴 도는 외돌사위가 있다. 외돌사위는 1. 1, 2박에 왼쪽으로 360도 돌면서 왼발을 감고 왼발을 들고 뛴다. 2. 3, 4박에 오른팔로 풀어주며, 오른발을 들고 뛴다. 외돌사위는 한번은 내감고 한번은 뿌리는 동작이 번갈아 진행되어 맺고 푸는 우리춤의 특성을 한 몫에 보여주고 있다.
봉산탈춤 목중춤인 경우 주홍색 바탕에 검은 색 반점과 혹이 여러 개 달린 요철굴곡이 심한 귀면형의 탈을 쓴다, 저고리와 잠방을 입고 그 위에 3자 길이의 한삼이 달린 더그레를 입는다. 허리띠를 매고 바지 위에는 행전을 치고 짚신을 신는다.
1. 외사위 동작은 주로 전진과 이동할 때 많이 사용한다. 이는 활달하고 진취적인 남성적인 건무(健舞)의 특성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경쾌한 중량감의 춤새이다. 이는 중부 산대놀이의 깨끼사위와 한 맞춤이다. 2. 외사위는 특히 뛰거나 맴도는 동작으로 넘어갈 때는 동작과 동작 사이를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한다. 3. 북방계열인 고구려 춤의 내림을 이어받아 상무정신이 엿보이며, 다른 지역과 깨끼춤과 비교하여 춤사위가 거침이 없고 춤 폭이 크다. 같은 타령장단이라 하더도 궁중무의 한삼춤에 비해 굴곡이 크고 하체동작이 자유롭다.. 4. 오른발에 오른손, 왼발에 왼손이 같이 동작하는 수족상응(手足相應)은 우리 춤사위의 일반적인 특징을 그대로 보여준다. 이는 해서탈춤의 외사위는 중부 산대놀이의 깨끼에 대응한다. 5. 외사위의 변형이 다채롭고, 이는 둘째박이나 넷째박 때 한삼을 뿌려 거두는 맵시에서 나온다. 5. 그러나 도약의 춤이며 빠른 동작의 춤이다. 이에 맞춰 장단도 빠르며 기교가 들어갈 새가 없이 오른편, 왼편으로 한 번씩 한삼을 휘두르면 그만인 때가 많다.
외사위의 변형이 다채롭다. 봉산탈춤의 앉아뛰어 외사위
1. 1박에 두 팔을 벌려 내리고 무릎이 바깥쪽을 행하도록 벌려 앉는다. 2. 2박에 오른쪽 다리를 직각으로 올리고 몸통을 오른쪽으로 틀면서 도약한다. 이때 오른손을 들어 머리 뒤에서 앞으로 한삼을 감아 뿌린다. 3. 3박에 몸통을 원위치로 돌리며 첫박과 같은 요령으로 벌려 앉으며 착지한다. 4. 4박에 왼쪽 다리를 직각으로 세우고 몸통을 왼쪽으로 틀면서 도약한다. 이때 왼손의 한삼을 머리 뒤에서 앞으로 감아 뿌린다. 외사위 변형1: 뿌려모아 두 손 펼치기
1. 1박에 오른발을 들고 오른팔을 머리 위에서 크게 감아 한삼을 뿌린다. 2. 2박에 두발을 나란히 놓고 양팔의 한삼을 이마 앞에서 뿌려 모은다. 3. 3박에 왼발을 들면서 양팔을 머리 위에서 크게 뿌린다. 4. 왼발을 놓고 양팔을 내여 오른팔은 허리 앞에 왼팔은 허리 뒤로 감는다.
앉아 돌아 외사위
1. 1박에 앞 박(전 4박)오른쪽으로 360도 돌며 도약한다. 오른 다리를 든다. 오른팔 한삼을 위에서 크게 감아 뿌린다. 2. 2박에 두발을 나란히 놓고 양팔의 한삼을 이마 앞에 뿌려 모은다. 3. 왼발을 들면서 양팔을 머리 위에서 크게 뿌린다. 4. 왼발을 놓고 양팔을 내려 오른팔은 허리 앞에 왼팔은 허리 뒤로 감는다.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송파산대놀이』,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김세중, 「한국민속극 춤사위 연구」, 중앙대 석사논문, 1972 박전열, 『봉산탈춤』화산문화, 2001 (사) 민족미학연구소 엮음, 『한국 탈춤의 몸짓말 갈래사전 연구 Ⅰ』, 경당, 2010 (사) 민족미학연구소 엮음,『한국 탈춤의 몸짓말 갈래사전 연구 Ⅱ』, 경당, 2010 전경욱, 『은율탈춤』,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정병호, 『한국춤』, 열화당, 1985 정병호, 『한국의 전통춤』, 집문당, 2002 채희완, 『탈춤』, 대원사, 1992 최창주, 『한국전통연희의 이해와 실제 Ⅲ-봉산탈춤』, 2000
채희완(蔡熙完)